Illuminating Minds, Bridging Worlds

마음을 맑히고 세상을 잇는 어나더.웍스

Dig up the ... 자세히보기

투자의 기술 42

6주차. 보충자료 - 종목 선정

6주차. 보충자료 - 종목 선정 주식투자에서 종목 선정은 투자 수익의 핵심적인 원천 중 하나로, 어떤 종목을 고르느냐에 따라 투자 성패가 크게 갈립니다. 종목 선정이 잘 이루어지면 시장 상황이 변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자산배분이나 마켓 타이밍과 더불어 투자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 꼽힙니다.효과적인 종목 선정을 위해서는 자신만의 명확한 기준과 필터링 능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되, 모든 기업에 동일한 잣대를 적용하기보다는 각 기업의 성장성, 업종 특성, 부채비율 등 상대적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꾸준한 시장 모니터링과 자료 분석 습관을 통해 정보의 신뢰성을 ..

5주차. 보충자료 - 트렌드 예측

5주차. 보충자료 - 트렌드 예측트렌드 예측 핵심 가이드예측은 정확한 진단으로부터 출발하며, 그 자체가 과학적 사고의 실천입니다. 예측을 수행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 가이드를 간결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현실을 직시하라; FACE REALITY변화를 감지하라; DETECT CHANGES구조를 먼저 파악하라, UNDERSTAND STRUCTURE불확실성을 설계에 포함하라; INCORPORATE UNCERTAINTY검증 없는 직감은 편견이다; INTUITION IS BIASEDⅠ. 주식시장의 트렌드 예측주식시장의 트렌드 예측은 거시경제부터 개별 종목까지 여러 층위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과정입니다.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1. 시장 전체(거시적 수준)의 트렌드 예측1-1. 핵심..

4주차. 보충자료 - 군중 심리와 행동편향

4주차. 보충자료 - 주식시장의 군중 심리와 행동편향 Ⅰ. 군중 심리와 행동편향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주식 시장에서 군중 심리와 행동 편향은 가격의 과열, 급락, 비이성적 거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음 두 축으로 분석합니다.1. 패턴별 구분: 군중 심리와 행동 편향 유형아래는 대표적인 심리 및 편향별 시장에서 나타나는 행태와 사례입니다.구분심리/편향 유형설명주식 시장에서의 예시A. 확증 편향자신이 가진 정보나 신념을 강화하는 정보만 수용반대되는 증거 무시, 상승장에서는 낙관론에만 집중2021년 테슬라 고점 당시, 거품 우려 기사들을 무시하고 "전기차 혁명" 관련 낙관론만 소비B. 후회 회피실수에 대한 후회를 피하기 위해 행동 회피손실 회피, 손절 못하고 '존버..

3주차. 보충자료 - 시장 트렌드 분석

3주차 보충자료 - 시장 트렌드 분석Ⅰ. 시장 전체 흐름시장이 상승장(Bull Market), 하락장(Bear Market) 혹은 횡보장(Sideways Market) 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단순한 지표 한두 개로 판단하기보다는 가격, 추세, 수급, 경기 사이클 등을 종합해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실전에서 많이 사용하는 체계적인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지수 기준 이동평균선 추세 확인 (기술적 기준)대표 지표:KOSPI, KOSDAQ, 혹은 S&P500, 나스닥 등 주요 지수주요 기준:구분기술적 조건 (일봉/주봉 기준)상승장지수가 120일/200일선 위 + 단기/중기선 정배열하락장지수가 120일/200일선 아래 + 단기/중기선 역배열횡보장지수가 이평선 근처에서 등락 반복, 거래량 감소..

1주차. 보충자료 - Iceberg Model & CLDs

1주차. 보충자료 - Iceberg Model ✍️ 주식시장은 다양한 멘탈모델을 가진 참여자들이 각자의 규칙과 전략에 따라 수익을 추구하며 상호작용하는 복합 시스템입니다. 이들의 행위는 단순히 보이는 가격 움직임(event) 뒤에 반복 패턴, 구조적 제약, 그리고 내면의 신념(mental model)이 결합된 결과물입니다. Iceberg Model을 통해 겉으로 보이는 이벤트 너머의 패턴과 구조,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진정한 투자 통찰의 시작입니다.Ⅰ. 주식시장과 Iceberg Model📌 주식시장은 ‘다양한 멘탈모델의 충돌과 상호작용’이 벌어지는 복합 시스템 주식시장은 겉보기엔 가격만 오르고 내리는 간단한 숫자판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 안에는 수많은 참여자가 저마다의 다른 목표, 전략, 사고방식..

[Summary] 복잡계 주역 투자론: 시스템 사고와 주역의 변화이론으로 풀어내는 주식투자 전략

복잡계 주역 투자론"시스템 사고와 주역의 변화이론으로 풀어내는 주식투자 전략"Stock Investment Strategy Using Systems Thinking and Yi Ching's Theory of Change이 강좌는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와 주역(Yi Ching)의 통찰을 결합하여 주식 시장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통합적으로 해석하고, 데이터 기반의 실전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각 회차별 관련 핵심 이론에 대해 A4용지 한 장 분량의 내용으로 요약 정리합니다.📘 1주차: 시스템 사고 개론주제: 시스템 사고를 통해 주식 시장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이해하는 기초 다지기(1) 일반 시스템 이론 (General Systems Theory)루드비히 폰 베르탈란..

2주차. 보충자료 - 주역 괘사표와 64괘의 해석

괘사표는 공식 괘서(문왕괘서/통행본 순서)를 기준으로 괘명과 괘상, 상징, 의미를 정리한 것입니다. 즉, 주역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64괘의 순서(乾, 坤, 屯, 蒙...未濟)와 각 괘의 상괘/하괘(위/아래 괘)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공식 괘서(문왕괘서)란?주역의 64괘는 문왕(周文王)이 배열한 순서(괘서, 卦序)가 표준으로 통용됩니다.이 순서는 단순히 상괘 8 × 하괘 8의 기계적 조합이 아니라, 철학적·상징적 의미와 도전괘(倒顚卦, 상하괘 반전), 배합괘(配合卦, 짝괘) 원리에 따라 배열되어 있습니다.예를 들어, 1괘(乾)는 건/건, 2괘(坤)는 곤/곤, 3괘(屯)는 감/진, 25괘(無妄)는 건/진 등입니다.괘사표의 기준괘명, 괘상, 상징, 의미 모두 공식 괘서(문왕괘서)와 각 괘의 전통적 괘상(..

T&T Group 8. 존 볼린저 (John Bollinger) : 볼린저 밴드의 탄생

"시장을 정복한 8인의 전략가: 기술과 타이밍의 예술"= 추세 추종, 차트 분석, 단기 수익 극대화를 위한 실전 전략 =T&T Group 8. 존 볼린저 (John Bollinger) : 볼린저 밴드의 탄생1. "볼린저 밴드의 탄생"1980년대 존 볼린저는 주가 변동성이 정규 분포를 따른다는 통계학적 가정에 의문을 품고,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를 개발했습니다. 이 지표는 20일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2표준편차 범위를 상한선과 하한선으로 설정해 주가의 변동성을 시각화했습니다. 1983년 CNBC에 소개되며 월가의 핵심 분석 도구로 자리잡았고, 1995년 "볼린저 밴드 투자기법" 저서를 통해 전 세계 트레이더에게 체계적인 매매 전략을 전파했습니다.2. 핵심 투자 전략(1) 변동성 돌파 ..

T&T Group 7. 스티브 니슨 (Steve Nison) : 캔들차트의 서구 전파자

"시장을 정복한 8인의 전략가: 기술과 타이밍의 예술"= 추세 추종, 차트 분석, 단기 수익 극대화를 위한 실전 전략 =T&T Group 7. 스티브 니슨 (Steve Nison) : 캔들차트의 서구 전파자1. "캔들차트의 서구 전파자"스티브 니슨은 1990년대 초 "Japanese Candlestick Charting Techniques"를 출간하며 서구 금융계에 캔들차트 분석법을 본격적으로 소개했습니다. 당시 미국에서는 바차트가 주류였으나, 그의 책은 주가의 숨은 힘을 시각화하는 캔들차트의 우수성을 입증하며 기술적 분석의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2008년 연방준비위원회(FRB)에 캔들차트 강의를 진행하며 공식 기관까지 영향력을 확장한 그는 "캔들차트의 아버지"로 불립니다[1][3][5].2. 핵심 투자..

T&T Group 6. 마이클 스타인하트 (Michael Steinhardt) : 헤지펀드의 개척자

"시장을 정복한 8인의 전략가: 기술과 타이밍의 예술"= 추세 추종, 차트 분석, 단기 수익 극대화를 위한 실전 전략 =T&T Group 6. 마이클 스타인하트 (Michael Steinhardt) : 헤지펀드의 개척자1. "헤지펀드의 개척자"스타인하트는 1967년 설립한 Steinhardt Partners를 통해 헤지펀드 산업의 초기 리더로 자리매김했습니다. 1973~1974년 오일 쇼크 기간 동안 역발상 투자로 연평균 24.5%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명성을 얻었습니다. 특히 "단기 시장 비효율성"을 활용한 전략으로, 1994년 그리스 채권 시장에서의 대규모 매수는 변동성 극대화 접근법의 정점을 보여주었습니다. 그의 펀드는 28년간 연평균 24.5% 수익률로 월가의 전설이 되었습니다[1][3].2.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