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uminating Minds, Bridging Worlds

마음을 맑히고 세상을 잇는 어나더.웍스

Dig up the ... 자세히보기

투자의 기술/복잡계 투자론

5주차. 보충자료 - 트렌드 예측

Little Giant Hawk 2025. 5. 15. 15:56

5주차. 보충자료 - 트렌드 예측

트렌드 예측 핵심 가이드

예측은 정확한 진단으로부터 출발하며, 그 자체가 과학적 사고의 실천입니다.

 

예측을 수행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 가이드를 간결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실을 직시하라; FACE REALITY
  2. 변화를 감지하라; DETECT CHANGES
  3. 구조를 먼저 파악하라, UNDERSTAND STRUCTURE
  4. 불확실성을 설계에 포함하라; INCORPORATE UNCERTAINTY
  5. 검증 없는 직감은 편견이다; INTUITION IS BIASED

Ⅰ. 주식시장의 트렌드 예측

주식시장의 트렌드 예측은 거시경제부터 개별 종목까지 여러 층위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과정입니다.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1. 시장 전체(거시적 수준)의 트렌드 예측

1-1. 핵심 변수

영역 주요 변수
거시경제 금리, 환율, 물가, 실업률, GDP 성장률, 유동성
정책/정치 통화정책(기준금리, 유동성), 재정정책(예산/감세), 지정학 리스크
글로벌 환경 미국/중국/유럽의 경제지표, FED 발표, 유가, 원자재 가격, 공급망

1-2. 트렌드 예측법

  • 선행지표 분석: 제조업 PMI, 소비자 심리지수, 구인건수, 장단기 금리차
  • 통화유동성 흐름 추적: M2, 실질금리, 중앙은행 자산 규모 변화
  • 기술적 추세 분석: 코스피/코스닥 지수의 이동평균선, RSI, MACD

2. 산업(섹터) 수준의 트렌드 예측

2-1. 핵심 변수

구분 주요 요소
산업 수요 기술 변화, 소비 트렌드, 정책 수혜 여부
공급/경쟁 진입장벽, 경쟁강도, 원가구조
정책 수혜 정부 예산 투입 계획, 규제완화/강화 흐름
시장 심리 테마 순환, 기관/외인 매수 집중 섹터

2-2. 산업별 모니터링 지표 예시

  • 2차전지: 리튬 가격, 전기차 판매량
  • 반도체: DRAM/NAND 고정거래가격, 미국 반도체 수출 규제
  • 건설: 건축허가면적, 금리 변화, SOC 예산
  • 콘텐츠/게임: 신작 흥행 성과, MAU,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

3. 개별 종목의 트렌드 예측

3-1. 핵심 요소

영역 구체적 내용
실적 분기 실적 추이, 매출/영업이익 성장률, 수주잔고
이벤트 신규 수주, 신사업 진출, 대규모 투자/계약
수급 외국인/기관 순매수, 공매도 잔고, 신용잔고 증가
기술적 흐름 거래량 증가,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 박스권 돌파

3-2. 정성적 관점

  • 경영진의 전략 방향: IR자료, 실적발표 코멘트
  • 시장 내 경쟁력 위치: 브랜드 파워, 원가경쟁력
  • 이슈 대응력: 리스크 상황에서의 대응(예: 공급망 교란 시 재빠른 전환)

4. 시스템 사고 기반의 트렌드 해석 (심화)

"강한 피드백 루프" → 트렌드 강화 / "지연 루프" → 역추세 조짐
예시:

  • 2차전지: 양극재 수요 증가 → 기업 실적 급등 → 외인 매수 유입 → 주가 상승 → 기관 관심 증가 → 트렌드 강화
  • 반도체: 수요 둔화 → 재고 증가 → 단가 하락 → 실적 감소 → 투자 축소 → 일정 기간 후 반등 트리거 형성

5. 예측에 활용 가능한 주요 도구 및 시스템

  • 퀀트/팩터 분석 시스템: 가치, 모멘텀, 퀄리티, 수급 팩터 조합
  • 딥러닝 기반 가격예측 모델: LSTM, Transformer 기반 시계열 예측
  • 시장 심리 분석: 뉴스 키워드, SNS 투자심리 스코어, 신용잔고 급증 비율

6. 실제 활용 흐름 예시

매크로 환경 개선 (금리 동결) → 산업 정책 수혜 (디지털 인프라 확대)
→ 해당 산업 관심도 증가 (네트워크 장비, AI 반도체)
→ 특정 종목 거래량 증가 + 기관 매수 집중 → 종목 트렌드 시작


시장 전체 → 산업 → 종목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각 예측 변수별 기준과 분석/예측 방법을 체계적으로 알아봅니다.


Ⅱ. 시장 전체 수준의 트렌드 예측

시장 전체 수준에서 사용하는 주요 예측 변수들의 기준치와 실전 적용법입니다.

1. 거시경제 지표 기반 예측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금리 (기준금리, 국채금리) - 실질금리: 0% 이하 → 유동성 장세 가능성
- 장단기금리차: 역전되면 경기 침체 경고
-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여부 추적
- 국채금리 하락 +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 위험자산 선호 증가
물가 (CPI, PPI) - 전년 대비 상승률 2% 이하 → 통화완화 여지
- 3% 이상 고착 시 긴축 가능성
- 예상치 대비 실적 차이 추적 (서프라이즈 여부)
- 중기적 금리 경로 예측의 핵심 지표
실업률 - 완전고용선 (4% 미만)이 유지되면 긴축 지속 근거
- 급격한 증가 시 경기침체 가능성
- 고용지표와 금리 정책 간 시차 분석
- ISM, ADP, NFP 등과 결합하여 리스크 점검
GDP 성장률 - 분기 성장률 0% 이하 → 경기침체 구간
- 2% 이상 안정적 → 기업 실적 개선 기대
- GDP 성장률 흐름 + 기업 실적 사이 상관관계 모델링
- 성장률 둔화 전환점 포착 중요
소비자 심리지수 (CSI, 소비자 기대지수) - 100 이상: 낙관, 100 이하: 비관
- 급격한 반등/하락 주목
- 경기 선행 신호로 사용
- 소비주, 리테일 ETF 등과 동조 여부 체크

2. 금융시장 기반 예측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M2 / 유동성 지표 - M2 증가율이 상승 전환 시 위험자산 반등 가능성 ↑ - 한국은행 + FED 기준 유동성 추세 동조 여부 분석
- 시장 반등 시점과 유동성 흐름 선후관계 확인
코스피 PER/PBR (밸류에이션) - 코스피 PER 10 이하: 저평가 영역
- PBR 1 이하: 바닥 추정 근거
- 장기 평균(5년, 10년) 대비 위치 분석
- 밸류에이션 반등 시 상승 사이클 진입 확인
환율 (KRW/USD) - 1,300원 이상 급등 → 외국인 자금 이탈
- 1,200원 이하 안정 → 외국인 매수 가능성 ↑
- 환율 ↔ 외국인 순매수 상관분석
- 위기 시 환율 변동성과 주가 반대방향 경향 분석
VIX 지수 (공포지수) - 30 이상: 변동성 국면
- 20 이하: 안정적 상승 가능 구간
- 미국 VIX와 한국 변동성지수(VKOSPI) 추세 동조 확인
- VIX 하락 전환 → 주식시장 안정 추세 진입 시점 가능성

3. 시장 내부 기술적 흐름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코스피 200 이동평균선 - 20일선이 60일선 돌파 시: 단기 반등 신호
- 240일선 상향돌파: 중장기 추세 전환
-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구간과 수급 추세 동시 분석
- 거래량 동반 여부 확인 필수
선물옵션 수급/미결제약정 - 외국인 순매수 + 미결제약정 증가: 상승 추세 강화 가능 - 베이시스 흐름, 프로그램 매매량 분석
- 옵션만기일 전후 시장 방향성 변화 주목
신용잔고 비중 - 코스닥: 3조 이상일 때 과열 우려
- 급격한 증가 시 조정 신호
- 특정 구간(업종/테마)에서의 집중 여부 추적
- 신용잔고 급증 종목 → 수급 리스크 관리에 활용

4. 시장 심리 기반 예측

지표 기준 분석 방법
Bull-Bear Spread (미국 AAII) +20% 이상: 낙관 과열, -20% 이하: 비관 과매도 - 극단적 심리 상태 → 반대매매 포지션 예고 가능
- 한국 개인/기관/외인 매매주체별 포지션 비교 분석
투자자 예탁금/ CMA 잔고 증가 → 대기 매수세 확대, 감소 → 리스크 회피 - 주식시장 조정 후 예탁금 증가 시 바닥 매수 준비 지표
SNS/뉴스 키워드 분석 특정 테마 관련 키워드 급증 - 뉴스/포털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심리 급등' 신호 포착
- 예: "전기차", "AI 반도체" 등 검색량 급증 여부 확인

 


Ⅲ. 산업(섹터) 수준의 트렌드 예측

산업(섹터) 수준의 트렌드 예측에 사용되는 변수별 기준, 분석 방법을 설명합니다. 산업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공통된 분석 틀과 주요 산업 사례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1. 공통 변수와 예측 방법

구분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수요측 요인 산업 생산지수, 수출입 지표, 소비 트렌드 YoY 성장률 + 전월 대비 증가율 동시 개선 - 국가 통계청 산업별 생산/출하/재고 지표 추적
- 수출주 중심 산업은 관세청 수출입 동향 일간 분석
공급측 요인 경쟁사 수 증가, 원자재/부품 수급 공급 초과 → 단가하락/마진 축소 - 산업 집중도(HHI) 분석, 신규 진입 기업 수 추적
- 원자재 가격 ↔ 마진 구조 민감도 분석
정책 수혜 가능성 정부 예산, 법/제도 변화 예산 확대, 규제 완화 등 구조적 호재 - 국회 예산안, 중장기 산업 육성 계획 분석
- 기재부, 국토부, 과기부 자료 활용
주도섹터 순환 시가총액 상위 기업의 거래량, 기관/외인 순매수 거래량 급등 + 수급 유입 시 주도섹터 전환 - 10일 평균 거래량 돌파 + 외인/기관 동시 순매수 종목군 집중 추적

2. 산업별 트렌드 예측 사례

① 반도체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DRAM/NAND 고정 거래가 가격 상승 전환 시 매크로 반등 신호 - TrendForce, D램익스체인지 등 고정가 월별 변화 추적
- 반도체 ETF(예: SOXX)와 동조화 여부 분석
글로벌 설비투자액 YoY 증가 전환 시 업황 회복 기대 - TSMC, 삼성, 인텔 등 CapEx 발표자료 확인
- WFE(반도체장비) 업체 수주 증가 여부 체크

② 2차전지/전기차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리튬/코발트/니켈 가격 원재료 가격 하락 안정 시 수익성 개선 - LME, SMM 등 원자재 실시간 시세 확인
- 수급 안정 여부에 따른 업체별 이익률 차별화 분석
전기차 판매량 글로벌 YoY 성장률 30% 이상 유지 - 중국/유럽/미국 판매량 월별 발표 데이터 비교
- 상위 완성차 OEM 판매 증가 여부 추적 (BYD, 테슬라 등)

③ 콘텐츠/게임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신작 MAU/DAU 런칭 1개월 내 MAU 100만 이상 유지 - 앱애니, 구글 플레이 순위 및 다운로드 수 확인
- 인게임 결제 유저당 매출(ARPU) 동향
글로벌 퍼블리싱 성과 일본/중국 흥행 여부 (TOP10 진입 여부) - 국가별 매출 차트 실시간 추적
- 카카오게임즈, 넷마블, 크래프톤 등 해외 퍼블리셔와 제휴 확대 여부 분석

④ 바이오/제약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임상 진척도 2상 성공 → 기술수출 기대, 3상 성공 → 상업화 기대 - ClinicalTrials.gov, 식약처 승인 일정 추적
- 주요 파이프라인 가치 평가 (rNPV, 기술료 수익)
기술이전(L/O) 계약 계약금 + 마일스톤 총액 1,000억 이상 - 기술수출 발표 후 실제 계약 이행률 추적
- 계약 구조의 수익화 구조(로열티, 생산권 포함 여부 등) 분석

⑤ 건설/인프라/소형 모듈 원전(SMR)

변수 기준/임계값 분석 및 예측 방법
정부 SOC 예산 예산 확대 + 부처간 조기집행 계획 병행 - 국토교통부, 조달청 발주 건수 추적
- 수주총액 증감 추이(분기별 YoY + QoQ)
도시개발/SMR/친환경 인프라 민간+공공 PF 확대 여부 확인 - 토지보상, PF 금리 조건, 관련 수주기업(한전기술, 두산에너빌리티 등)의 수익성 모델링

3. 산업 트렌드 예측에서 유의할 점

  • 이슈 지속성 판단: 단기 이슈인지 구조적 성장인지 구분 필요 (예: 일회성 테마 vs 중장기 정책)
  • 테마 과열도 확인: 유사 산업 내 종목의 동반 급등 여부, 신용잔고 과열 여부 병행 분석
  • 경쟁 강도와 이익 지속성: 단기 매출 증가 vs 마진 하락 → 실제 실적과 주가의 괴리 발생 가능

Ⅳ. 종목(기업) 수준의 트렌드 예측

종목(기업) 수준의 트렌드 예측에 대해 정리합니다. 이 영역은 가장 구체적이고 분석 항목이 많기 때문에, 기초재무 → 수급/심리 → 이벤트/스토리 → 기술적 흐름 순서로 구조화하여 설명합니다.


1. 기초 재무 지표 기반 예측

항목 기준 분석 및 예측 방법
매출/영업이익 성장률 (YoY, QoQ) 연간 YoY 20% 이상 → 성장주로 주목 가능
연속 QoQ 개선 시 단기 모멘텀
- 매출 대비 이익 증가 폭 클수록 원가율 개선 가능성 주목
- 분기 실적 추이로 턴어라운드 여부 판단
ROE/ROA ROE 15% 이상, ROA 7% 이상 → 자본 효율성 우수 - ROE의 구성 항목(BPS, 이익률, 레버리지) 분해 분석
- ROE 상승의 원인이 부채일 경우 주의 필요
이익률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동종 업종 대비 +3%p 이상 → 경쟁력 우위 - 지속성 확인: 환율효과/일회성 제거 후 분석
- 신규 제품군 투입에 따른 마진구조 변화 확인
부채비율/현금흐름 부채비율 150% 이하 + 영업현금흐름 > 순이익 → 재무건전성 우수 - CAPEX(설비투자) 대비 잉여현금흐름 유지 여부 중요
- 외부차입 없이 성장 가능한 구조인지 판단

2. 수급·심리 기반 예측

항목 기준 분석 및 예측 방법
외국인·기관 수급 5일 연속 순매수 + 거래량 증가 → 추세 전환 가능성 ↑ - 수급 지속성, 일관성 여부 확인
- 종가 평균단가(추정) 돌파 여부 중요
신용잔고 변화율 단기 급증 → 차익매물 경고
감소 추세 → 건전한 상승 가능성
- 직전 고점 대비 신용잔고 비율 비교
- 코스닥 성장주 중심 과열 구간 체크
공매도 거래량/비중 공매도 비중 5% 이상 → 눌림 주의
감소 전환 시 반등 모멘텀
- 최근 상환(숏커버링) 급증 종목 주목
- 공매도 잔고가 많은 종목은 기술적 저항이 강함

3. 이벤트 기반 예측 (스토리/모멘텀)

항목 기준 분석 및 예측 방법
IR/호재 뉴스 발표 실적 가이던스 상향, 신규 수주, 기술 계약 등 - 재료의 실현성, 지속성, 시점 분석 필요
- 수급 및 차트 반응과 함께 해석
신제품/신사업 진입 시장 기대치 대비 시장 크기와 점유율 잠재력 비교 - TAM-SAM-SOM 분석을 통해 실현가능 매출 예측
- 경쟁사 대비 기술 차별성 여부 확인
지분 변화 (오너·기관·VC 등) 오너의 매입, 신규 기관 진입 → 신뢰도 상승 - 임원/오너 지분 매입 시 주가 바닥 시그널 가능
- 기관 포트폴리오 편입 후 거래량 급증 여부 추적
이슈 발생 (리콜, 규제, 소송 등) 단기 악재: 이익 일시 감소
구조적 리스크: 장기 할인 요인
- 이벤트 전후 주가와 거래량 반응 분석
- 실적 추정치 조정 여부 확인 필요

4. 기술적 분석 기반 예측

항목 기준 분석 및 예측 방법
이동평균선 구조 5-20-60-120일선 정배열 시 상승 추세 - 단기 이평선 골든크로스 + 거래량 동반 여부 확인
- 과거 돌파 구간과 패턴 반복 여부 비교
거래량 변화 20일 평균대비 2배 이상 거래량 급증 - 수급 전환 시그널, 세력 유입 가능성
- 전일 고가/종가 돌파 시 수급 우위 유지 여부 체크
캔들 패턴 (양봉, 갭, 장대음봉 등) 상승 갭 발생 후 지지 → 상승 지속 가능
하락 장대음봉 + 고점 부근 → 단기 차익 신호
- 캔들 구조와 수급 주체 간 상관관계 분석
- 이중바닥, 헤드앤숄더 패턴 등 보조지표와 병행 사용
RSI/CCI/Stochastic 등 RSI 30 이하 과매도, 70 이상 과매수
CCI 100 이상 강세, -100 이하 약세
- 과매도 구간 + 수급 반전 시 분할 매수 포인트
- 단기 매도/매수 타이밍 판단 보조로 활용

보조 분석 요령 (실전 적용 팁)

  1. 시장 → 산업 → 종목 흐름 연결 확인
    • 예: "FED 금리동결 → 반도체 ETF 반등 → SK하이닉스 수급 증가"
  2. 주가 vs 실적 괴리 분석 (Valuation Gap)
    • PER 하락인데 주가 유지 중이면 향후 실적 상향 가능성 내포
  3. 투자자 매매 행태 분석
    • 개인: 고점 추격, 외인/기관: 눌림 매집 → 거래 주체별 포지션 추정 가능
  4. 단일 이슈 의존 종목은 리스크 관리 철저
    • 예: 임상 실패/성공, 정책 해제 등 → 주가 급변 리스크

Ⅴ. 시스템 사고와 주역 이론 확장

1. 시스템 사고 기반 트렌드 예측 프레임워크

1-1. 기본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예시
요소 (Element) 변수, 주체, 시장 참여자 금리, 인플레이션, 수급, 기업실적 등
상호작용 (Interconnection) 피드백 루프, 지연 효과 "기대 인플레이션 → 금리 기대 변화 → 주가 선반영"
경계 (Boundary) 분석의 범위와 시계 산업 내 경쟁사 vs 글로벌 밸류체인
목적/기능 (Purpose) 시스템이 지향하는 목표 기업: 이익 극대화, 시장: 정보 반영 및 자본 배분

1-2. 핵심 적용 기법

시스템 사고 개념 적용 방법 시사점
피드백 루프 (Feedback Loop) 긍정 루프: "신규 수주 → 매출 증가 → 시장 기대 증가 → 주가 상승"
부정 루프: "금리 상승 → 차입 부담 → 투자 축소 → 성장 둔화"
선순환/악순환의 방향성과 속도 파악
지연 (Delay) 실적 발표 후 주가 반영까지 시차 존재
정책 발표 → 실제 시행까지 수개월 지연
너무 빠르거나 느린 반응은 오히려 기회
비선형성 (Non-linearity) 10%의 변화가 1% 반응일 수도, 50%일 수도 있음
계단식 전환 가능
과거 회귀가 아닌 전환 지점에 주목
인지된 시스템 경계의 재설정 'IT 업종'이었던 테슬라가 이제는 '에너지-금융-플랫폼 생태계'로 확장 기존 카테고리에 갇히지 말고 변화 방향을 그려볼 것

2. 주역의 변화 이론 기반 트렌드 예측

주역의 핵심은 “변화는 끊임없이 일어나며, 그 변화는 순환적이며 위계적이다”입니다. 이를 트렌드 예측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가 나옵니다.

2-1. 6효 구조를 통한 단계적 변화 인식

효 단계 트렌드 상태 분석 포인트
초효 (1효) 변화의 씨앗이 움트는 단계 실적 미반영 신사업, 초기 기술 변화, 원재료 급등 등
2효 현실적 기반 확보 정책 반영, IR, 분기 실적 첫 반영
3효 내부 충돌, 불안정 주가 급등락, 과매수/과매도, 경계감 확대
4효 안정화 시도 거래량 감소, 기관 매집, 외인 진입 등
5효 전성기, 최고조 주가 신고가, 뉴스 봇물, 대중 관심 집중
상효 (6효) 쇠퇴 시작, 반전의 씨앗 과열, 실적 피크아웃, 내부자 매도 증가 등

현재 흐름이 6효 구조의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2-2. 64괘를 통한 트렌드 국면 진단

각 괘는 시장 혹은 기업의 ‘심리-구조적 상태’를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변화 국면 해당 괘 (예시) 시사점
시작/기회 포착 건(乾), 복(復), 임(臨) 초기 기획, 방향 설정, 상승 출발점
성장/확장 태(泰), 대장(大壯), 동인(同人) 모멘텀 형성, 수급 증가, 외부 확장
위기/반전 곤(坤), 비(否), 진(震) 변동성 확대, 예기치 않은 외부 충격
최고조/과열 구(姤), 왕괘(大有), 이미제(既濟) 투기 심리, 비이성적 상승, 이익 실현 필요
쇠퇴/재조정 미제(未濟), 해(解), 환(渙) 하락 조짐, 반등 시도, 재편 요구

→ 산업/종목에 괘를 대응시키면 시장 스토리텔링의 흐름도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3. 통합적 적용 예시

소부장 중소기업 A

  • 실적: 분기 턴어라운드, 이익률 개선 중 → 2효 진입
  • 수급: 기관 매집 지속 + 외국인 거래 증가 → 피드백 루프 형성
  • 뉴스: 신규 수주 + 정부 지원 확정
  • 기술적: 신고가 돌파 + 정배열 → 추세 지속 가능
  • 괘 해석: “臨 (임: 아래서 위로 순응하며 다가감)” → 점진적 상승 초기 국면

→ 전략: 조정 시 분할 매수, 5효(대중 확신) 오기 전 이익 실현 고려


마무리 제언

관점 질문
시스템 사고 이 흐름이 구조적으로 자생 가능한가? 피드백은 지속되는가?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주역 사고 지금 이 변화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다음 효는 어떤 상태인가? 지금 괘는 성장인가 쇠퇴인가?

Ⅵ. 산업/종목별 시나리오 모델링

1. 시나리오 모델링 방법

CLD(Causal Loop Diagram)를 기반으로 산업/종목별 시나리오 모델링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의 5단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 사고의 구조적 접근을 활용하여 산업·종목의 트렌드 동력, 위험 요인, 전환 시그널 등을 모델링하기 위한 전략적 기법입니다.


2. CLD 기반 산업/종목별 시나리오 모델링 방법

 

1단계. 핵심 변수 정의 (Core Drivers Identification)

먼저 해당 산업/종목을 추진력 있게 움직이는 구조적 변수들을 파악합니다.

예시: 2차전지 산업

유형 변수 예시
수요 변수 전기차 판매량, 배터리 수요 증가율
공급 변수 리튬 가격, 생산 능력 (CAPA), 공정 기술
정책 변수 탄소배출 규제, 보조금 정책
기업 변수 R&D 투자, 점유율 변화, 수익성

핵심은 투자자 심리에 영향을 주는 인과관계가 구조적으로 얽혀 있는 변수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2단계. 인과 루프(Causal Loop) 도출

변수 간의 피드백 구조를 "양(+) 혹은 음(-)"의 인과 관계로 연결하여 루프를 구성합니다.

예시 루프: ‘성장 기대 루프’

전기차 판매 증가 (+)
   → 배터리 수요 증가 (+)
      → 2차전지 기업 매출 증가 (+)
         → R&D 투자 확대 (+)
            → 제품 성능 향상 (+)
               → 전기차 확산 가속 (+) → 루프 강화

이것은 강화 루프(Reinforcing Loop)이며, 성장이 자기강화적으로 작동합니다.

예시 루프: ‘공급 압박 루프’

리튬 가격 상승 (+)
   → 배터리 제조 원가 상승 (+)
      → 기업 마진 감소 (-)
         → 주가 하락 (-)
            → 투자 심리 위축 (-)
               → CAPA 확장 지연 (-) → 수급 불균형 지속 → 루프 악화

이 루프는 균형 루프(Balancing Loop)로, 과열된 시스템에 균형 또는 조정 압력을 줍니다.


3단계. 시나리오 변수 설정 및 분기점 정의

여기서 중요한 건 "어느 변수가 변할 때 전체 시스템이 어떻게 전개되는가"입니다.

예시: 시나리오 분기점 설정

변수 낮음 시나리오 중립 시나리오 높음 시나리오
전기차 수요 정체 완만한 증가 급증
리튬 가격 급등 안정 하락
IRA 보조금 정책 축소 유지 확대
경쟁사 CAPA 과잉 균형 부족

→ 조합을 통해 최소 3~5개의 산업 전개 시나리오 생성 가능


4단계. CLD 시나리오 맵 구축

이제 각 시나리오마다 인과 루프가 어떻게 다르게 작동하는지 시각화합니다.

예시 1: 낙관 시나리오 CLD

  • 강화 루프 작동
  • 전기차 수요 ↑ → 매출 ↑ → R&D ↑ → 경쟁우위 강화 → 주가 ↑
    → 외인 유입 → 기대감 강화 → 또 다시 매출 ↑...

예시 2: 위기 시나리오 CLD

  • 균형 루프 작동
  • 리튬 가격 ↑ → 마진 ↓ → 주가 ↓ → 투자 심리 ↓ → CAPA ↓
    → 공급 부족 → 납기 지연 → 고객사 이탈 → 매출 ↓...

5단계. 종목별 세부 매핑 및 조기 경보 포인트 설정

이 단계에서는 개별 종목이 어느 시나리오에 위치하는가를 매핑하고,
경보 포인트(Trigger Point)를 설정합니다.

예시: A사 vs B사

항목 A사 (점유율 상위) B사 (신규 진입)
시나리오 위치 낙관적 성장 루프 중심 불확실성 높은 균형 루프
주요 변수 R&D 강화, IRA 수혜 원자재 조달 리스크, 가격 민감도
경고 신호 리튬 가격 급등, 공정 사고 수주 감소, 경쟁사 기술 격차 확대

3. 보충 팁: CLD 도식화 툴 활용

다음과 같은 툴을 이용하면 CLD 시각화와 시나리오별 루프 추적이 매우 용이합니다:

  • Vensim PLE / Insight Maker (복잡한 루프 모델링)
  • Kumu.io (웹 기반 인터랙티브 맵)
  • Lucidchart / Miro (프레젠테이션용 정리)

4. 요약

단계 설명
① 핵심 변수 정의 산업·종목 움직이는 구조적 변수 정의
② 인과 루프 작성 강화/균형 루프 구성
③ 시나리오 변수 설정 분기점 조건 정의
④ CLD 시나리오화 각 시나리오별 루프 흐름 작성
⑤ 종목 매핑 종목 위치 및 경고 신호 설정

2. 시나리오 모델링 예시

방산 산업과 그 대표 종목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심으로
CLD 기반 시나리오 모델링 예시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1. 핵심 변수 도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포함 방산 산업 중심)

변수 유형 핵심 변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연관성
수요 요인 글로벌 지정학 갈등, 방산 수출 계약, 국방예산 증가 폴란드·중동 등 수출 계약, 국내 K9·항공기 납품
공급 요인 생산 능력 (CAPA), 부품 수급, 기술력 엔진 제조 역량, 누리호 참여
정책 요인 국내/국외 방산 정책, 수출 규제 방산 수출 허가, 정부 주도 수출 외교
기업 전략 인수합병(M&A), R&D 투자, 조직 통합 대우조선 인수, 방산 통합 플랫폼 구축

2. CLD: 방산 산업 성장 시나리오 구조

[강화 루프: 방산 성장 루프]

지정학적 위기 증가 (+)
  → 국방예산 확대 (+)
    → 방산 수출 증가 (+)
      → 수주 확대 (+)
        → 생산 CAPA 투자 확대 (+)
          → 납기/품질 경쟁력 향상 (+)
            → 방산 수출 신뢰도 증가 (+)
              → 수주 지속 증가 (+) ← 피드백

[균형 루프: 공급 병목 루프]

수주 급증 (+)
  → 부품 수급/생산 인력 한계 (-)
    → 납기 지연 및 수익성 악화 (-)
      → 고객 신뢰 저하 (-)
        → 수출 지속성 감소 (-) ← 균형 압력 작용

3. 시나리오별 분기점 및 변수 설정

변수 낙관적 시나리오 중립 시나리오 부정적 시나리오
지정학 위기 지속·확대 유지 급감
수출 수주 다수 수주 일부 유찰 지연/취소
생산능력(CAPA) 선제적 투자 보수적 대응 병목 발생
부품 조달 안정적 국지적 지연 글로벌 공급난
정부 정책 수출 지원 확대 유지 규제 강화

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시나리오별 CLD 요약

시나리오명 주요 루프 흐름 요약
S1. 초과성장 루프 강화 루프 중심 수출 수주 지속 → CAPA 증설 → 납기 경쟁력 → 수주 확대 반복
S2. 납기 병목 루프 강화 + 균형 수주 급증 → 생산 인력 한계 → 납기 지연 → 일부 신뢰 저하
S3. 정책 변화 루프 균형 루프 강화 국내 정책 변화/정권 교체로 수출 규제 → 수주 감소

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종목 시나리오 맵핑 예시

요소 현재 상태 (2025 기준 가정) 리스크 포인트 조기 신호 (Trigger)
수주 상황 폴란드 외 다수 수주 확보 수주 과잉으로 납기 병목 잔고 증가, 납기 이슈 뉴스
CAPA 확장 항공우주·엔진 생산라인 확충 부품 조달 의존도 부품사 계약 지연 정보
정부 정책 방산 수출 적극 지원 정권 리스크 외교 이벤트, 선거
심리 흐름 중장기 기대감 상승 피로감, 고점 인식 수급 이탈, 공매도 증가

6. 전략적 시사점 및 대응 방안

포인트 분석 전략
강화 루프 진입 수주 → CAPA 확대가 선순환 작동 시 추세 매수 전략 유효
균형 루프 작동 공급 병목, 납기 지연 조짐 발생 이익 실현 및 관망 구간
정책 변수 민감 정권·대외 관계 변화에 즉각 반응 종목 보유 비중 조절 필요

7. 시각화 예시: 간단 CLD 도식 (텍스트 기반)

[지정학 갈등] → + → [방산 수요] → + → [수출 수주] 
→ + → [한화 CAPA 확장] → + → [납기 경쟁력]
→ + → [수출 신뢰도] → + → [방산 수요] ← 피드백

수출 수주 ↑ → [부품 조달 부담] ↑ → [납기 지연 위험] ↑ 
→ [고객 신뢰↓] → [수주 지속성↓]

3. 트렌드 시나리오 비교 모델

방산 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LIG넥스원을 중심으로 CLD 비교 분석, Stock & Flow Diagram(SFD)까지 포함하여 방산 산업 내 두 대표 기업의 트렌드 시나리오를 비교한 모델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1. 두 기업 개요 비교

항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주요 제품 항공엔진, 누리호, 방산통합 플랫폼 정밀유도무기, 레이다, 방공무기
수출 중심 폴란드 등 유럽·중동 중동·동남아
정부 연계 방산 수출 확대 핵심 기업 군수 중심, K-방산 체계 참여
공급망 구조 수직계열화 (한화그룹 중심) 부품사 다변화 의존 높음
리스크 요인 공급 CAPA, 내재화 과제 원가 압박, 정부사업 편중

2. CLD 비교: 구조적 차이

(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CLD 요약

[지정학 갈등]
  → + [수출 수요 증가]
    → + [수주 확대]
      → + [CAPA 확충 투자]
        → + [생산 납기 경쟁력]
          → + [신뢰/브랜드 강화]
            → + [수출 지속성 강화] ← 강화 루프

[수주 급증] → + [부품 조달 부담] → + [납기 지연] → - [신뢰도] ← 균형 루프

(2) LIG넥스원 CLD 요약

[지정학 갈등]
  → + [정밀유도무기 수요 증가]
    → + [R&D/생산 집중]
      → + [핵심 무기체계 수출 증가]
        → + [기술 인증·신뢰 확보]
          → + [선진국 수출 기회 증가] ← 강화 루프

[정부 군수사업] → + [수익 안정성] → + [정책 민감도 증가] → - [자율적 경영 유연성] ← 균형 루프

3. Stock & Flow Diagram (요약 시각화)

(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SFD

[수출 수요] ─→ (Flow) [수주량] ─→ (Flow) [생산량] ─→ [납품량]

[CAPA 투자] ─┬─> [생산능력 Stock]
             └─> [기술/품질 경쟁력 Stock]

[납기 지연률] (Flow) ──┐
                       ↓
                     [신뢰도 Stock] → 수주량에 피드백

(2) LIG넥스원 SFD

[정밀무기 수요] ─→ (Flow) [국방 R&D 예산] ─→ (Flow) [생산량] ─→ [수출량]

[기술개발 투자] ─> [기술 신뢰도 Stock]
[정부 발주] ─> [수익 안정성 Stock]

[정책 리스크] (Flow) → [경영 유연성 Stock 감소]

4. 시나리오 매핑: 트렌드 예측 관점 비교

구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강화 루프 수출 수주 - CAPA 확장 - 브랜드 신뢰 유도무기 수출 - 기술 인증 - 수출 확대
균형 루프 납기 리스크 - 공급 병목 정책 의존도 - 정부사업 편중
성장 동력 수직 계열화 기반 CAPA 통제력 정밀무기 독점 기술력
리스크 요인 부품 공급 및 CAPA 한계 정책 변화, 원가압박
기회 요인 위성·우주영역 확대, 통합 플랫폼 정밀 방공무기 고도화 수요 증가
감시 변수 부품사 수급, 생산 설비 투자 지표 정부 R&D 예산, 신규 사업 수주 동향

5. 실전 적용을 위한 시사점

분석 포인트 전략적 대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CAPA 확장 시점과 수출 피크 타이밍에 주목. 수주 공시 및 생산설비 뉴스 주기적 모니터링 필요
LIG넥스원 정부 정책 변화에 가장 민감. 국방 R&D 예산안, 차기 정권 방향성에 따라 대응 전략 조정 필요

첨부: 방산 산업 구조 분석 – CLD 및 Stock & Flow 모델 다운로드

방산산업_CLD_SFD_Hawks_AnotherWorks.pptx
0.03MB

Ⅶ. 심화 학습

[1] 시스템 사고 도표 (CLD, SD)
[2] 64괘 투자 심리 단계 맵핑표
[3] 종목 분석용 주역 기반 진단 툴
구성 요소 주요 목적 활용 방식
1. CLD/SD 도표 시장 흐름 구조 이해 트렌드 국면 진단, 위험 감지
2. 64괘 심리 맵 투자자 심리 단계 매핑 시장/산업/종목 위치 분석
3. 주역 기반 진단 툴 종목 정밀 진단 전략 실행 의사결정 지원

[1] 주식시장 트렌드 예측용 CLD (Causal Loop Diagram: 인과 루프 도표)

시스템 사고의 CLD와 SD 구조를 기반으로,

  • 산업/종목별 시나리오 모델링
  • 위험 국면 진입 시 조기 경보 신호 구성
    이 가능합니다.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 CLD(인과 루프 도표)SD(재고-흐름 도표)를 상승과 하락 국면이 모두 포함된 통합 모델로 구성하여 설명합니다.

A. 전체 구조 요약

CLD는 상승을 유도하는 강화 루프(R)와 하락을 유도하는 균형 루프(B)가 얽혀 있는 구조입니다.

          ┌──────────────────────────────┐
          ↓                              │
  [기업 실적 개선]   →   [시장 기대 상승]   →   [주가 상승] ─┬→ [투자자 심리 개선]
          ↑                                     │            │
          └──── [기관/외인 수급 유입] ← [거래량 증가] ←──────┘

          ↑                                     ↓
      [투자자 심리 과열] ←────── [급격한 주가 상승] ─────┐
          ↓                                              │
   [이익 실현 매물 증가] → [수급 악화] → [주가 하락] →──┘
                      ↑
       [실적 피크아웃, 가이던스 하향]

B. 루프별 설명

강화 루프 R1: 실적 기반 상승 루프

  • Trigger: 실적 개선 → 시장 기대 증가
  • 경로: 기대 상승 → 주가 상승 → 수급 유입 → 거래량 증가 → 심리 개선 → 재매수
  • 특징: 상승 초/중기에서 지속되며, 모멘텀을 강화함

균형 루프 B1: 과열 조정 루프

  • Trigger: 심리 과열 또는 주가 급등
  • 경로: 과열 인식 → 차익 실현 → 수급 악화 → 주가 하락 → 심리 위축
  • 특징: 과열에 대한 자동 조정 메커니즘 역할

균형 루프 B2: 펀더멘털 한계 루프

  • Trigger: 실적 성장 한계 노출 (피크아웃, 실적 부진 가이던스 등)
  • 경로: 기대 감소 → 수급 이탈 → 하락 → 신뢰 약화
  • 특징: 실적 사이클 둔화 시점에서 작동

[2] 주식시장 트렌드 예측용 SD (Stock & Flow Diagram: 재고-흐름 도표)

A. 구조 개요

         (Flow)                              (Stock)
    ┌────────────────┐       ┌─────────────────────────────┐
    │ 실적 성장률      ├──────►│ 기대 수익률 (Perception)       │
    └────────────────┘       └─────────────────────────────┘
                │                        │
                ▼                        ▼
    ┌────────────────┐      ┌────────────────────────────┐
    │ 신규 수급 유입    ├─────►│ 거래량 (Market Activity)    │
    └────────────────┘      └────────────────────────────┘
                │                        │
                ▼                        ▼
    ┌────────────────────┐    ┌────────────────────────────┐
    │ 주가 상승률          ├───►│ 투자자 심리 (Bullishness)     │
    └────────────────────┘    └────────────────────────────┘
                 │                        │
                 ▼                        ▼
    ┌───────────────────────┐  ┌────────────────────────────┐
    │ 과열 수준 (Valuation)   ├─►│ 이익실현 매물 증가율           │
    └───────────────────────┘  └────────────────────────────┘
                                      │
                                      ▼
                              [거래량 급감, 하락 전환]

B. 시뮬레이션 가능 포인트

변수 양의 변화 효과 음의 변화 효과
실적 성장률 기대 수익률 증가 → 상승 모멘텀 성장 둔화로 기대 붕괴
투자 심리 낙관 → 수급 증가, 추세 지속 비관 → 매도세 강화
과열 수준 적당하면 추세 유지 과도하면 이익 실현 유도
수급 변화 외인/기관 유입 → 강화 루프 지속 수급 역전 시 급락 가능

C. 활용 전략

  • 거래량+심리+수익률의 조합으로 현재 위치 추정
  • 각 변수에 지연 요소(Delay) 포함 → 반응 시차를 읽을 줄 알아야 기회 포착 가능

[2] 64괘 기반 투자 심리 단계 매핑표

1. 전체 구조 개요

주역의 64괘를 7단계 투자 심리 흐름에 맞춰 재구성하였습니다.
각 단계는 시장, 산업, 종목에 적용 가능하며,
괴·효의 구조와 심리, 행동 전략을 연계하여 다음과 같은 테이블로 제시합니다.


2. 단계별 상세 매핑

단계 심리 국면 대표 괘 핵심 상징 투자자 반응 전략 제안
1. 초기(씨앗) 조용한 기대, 탐색 屯(둔), 復(복), 蒙(몽) 출발의 고통, 귀환, 배움 시장 관심 낮음, 정보 부족 관망, 정보 수집, 저점 매수 준비
2. 성장기 기대 확산, 초기 신뢰 臨(임), 升(승), 同人(동인) 접근, 상승, 협력 뉴스 확산, 점진적 유입 분할 매수, 핵심 지표 점검
3. 확산기 신념 형성, 대중 확산 泰(태), 大壯(대장), 夬(쾌) 태평, 강한 추진력 기관/외인 유입 본격화 추세 추종, 포트 강화
4. 과열기 탐욕, 과신, 과매수 大有(대유), 既濟(기제), 履(이) 풍요, 완성, 절제 필요 언론 극찬, PER 고점, FOMO 분할 매도, 리스크 헷지
5. 조정기 혼란, 방향 상실 否(비), 渙(환), 困(곤) 단절, 해산, 고난 하락 가속, 매도 과잉 관망, 기술적 반등 노림수
6. 쇠퇴기 실망, 투매 解(해), 節(절), 晉(진) 해소, 절제, 잔광 거래량 감소, 개인 물량 손절 저점 탐색, 바닥 확인용 소규모 매수
7. 전환기 재정비, 재도약 준비 謙(겸), 蹇(건), 益(익) 겸손, 장애 극복, 보충 구조조정, 수급 회복 신호 저점 분할 매수, 심리 선행 지표 점검

3. 괘 해석 예시: ‘泰(태)’ vs. ‘否(비)’

항목 泰(태) 否(비)
괘상 지(지상 건), 천(하 건) 천(지상 건), 지(하 곤)
상징 위는 땅, 아래는 하늘 → 상하 소통 위는 하늘, 아래는 땅 → 단절, 불통
의미 시장 활기, 소통, 강세 지속 투자 심리 위축, 조정 또는 급락
시사점 중심을 잡되, 자만 경계 무리한 진입 금지, 관망 필요

4. 실제 활용 방법

거시 환경 vs 괘 구조 매핑 예시

  • Fed 금리 전환기 → 復(복) → 상승 재출발
  • 지정학 불확실성 → 渙(환), 否(비) → 조정 혹은 하락 경고

산업별 트렌드 진단

  • 반도체: 泰(태) → 대장 → 夬(쾌) → 과열 가능성
  • AI 관련주: 同人(동인) → 성장기 중반

종목 레벨 활용

  • 차트 + 수급 + 심리 흐름 종합 → 괘 매핑 후, 현재 위치 진단
    예: 주가 횡보 + 거래 감소 + 재무건전성 우수 → 謙(겸) 혹은 蹇(건)

[3] 종목 분석용 주역 기반 진단 툴

이 진단 툴은 기술적 분석, 수급 흐름, 재무 정보, 뉴스/심리 등 다양한 변수
주역의 구조(괘, 효, 상징)와 결합하여 종목의 심리 흐름 단계, 변화 징후, 전략적 대응 포인트를 분석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 진단 툴 개요

분석 요소 대응 주역 구조 입력 데이터 진단 결과
기술적 흐름 상괘 가격 패턴, 이평선, 거래량 현재 추세 에너지 방향
심리 상태 하괘 뉴스톤 분석, 커뮤니티 반응, 개인 수급 낙관/비관 정도
변화 징후 변효 갑작스러운 수급 변화, 돌파/이탈 경계/기회 신호
핵심 전략 괘 전체 의미 종합 점수 기반 전략 매핑 매수/매도/관망 판단

2. 분석 알고리즘 흐름도

[데이터 수집]  
   │  
   ├─ 기술지표 분석 (MACD, RSI, 이평선 등) → [상괘]
   │  
   ├─ 수급 분석 (기관/외인, 공매도, 잔고율 등) → [하괘]
   │  
   ├─ 뉴스톤/심리 분석 (긍·부정, 개인 게시판 추이) → [하괘 보완]
   │  
   └─ 갑작스러운 흐름 변화 탐지 → [변효 설정]

   ↓

[괘 도출 및 해석]  
   → 현재 괘 (6효) + 변화 괘 → 괘사/효사 해석 기반 투자 조언

   ↓

[전략 제안]
   → "관망 / 매수 유효 / 리스크 주의 / 추세 강화 기대" 등으로 리포트 생성

3. 예시 시나리오 분석

예시: A반도체 종목

항목 데이터 해석
기술 흐름 장기 상승 후 조정, 이평선 밀집 泰(태) 상괘
심리 흐름 고점에 대한 회의, 기관 매도 확대 否(비) 하괘
변화 감지 외인 급매수 전환, 뉴스 호전 4효 변효
해석 결과 泰 → 小過(소과) 변화: 과열에서 정화 국면 진입  
전략 제안 부분 이익 실현, 재매수는 변곡 후 확인  

4. 진단 툴 적용 형태

■ 엑셀 기반 자동화 예시

구분 항목 주역 대응 해석 요약
기술 20일 이평 돌파 TRUE 上괘: 乾 상승 에너지 발생
수급 외인 순매수 지속 TRUE 下괘: 坤 신뢰 형성
심리 뉴스 긍정도 82% 높음 긍정 매수 신호
변화 5일 내 거래량 급등 있음 3효 변 기회 발생
총괘 泰 (變: 同人) 상승 강화 흐름 추세 매수 유효  

5. 향후 확장 방향 (제안)

  • Python 기반 자동화 도구: 웹에서 종목 입력 → 괘 매핑 → 전략 제시
  • ChatGPT 플러그인 연동: 실시간 분석 리포트 생성
  • 시계열 괘 변화 추적 그래프: 투자 심리의 시간 흐름 시각화

📦 종목 분석용 주역 기반 진단 자동화 도구

(Python 웹 기반 입력 → 주가 지표 분석 → 괘 매핑 → 전략 제시)

✅ 주요 기능

자동화 도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포함합니다:

  •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종목 티커를 입력하면,
  • 간단한 샘플 지표(수익률, RSI, 변동성)를 기반으로,
  • 상태(상승/조정/과열/약세)를 진단하고,
  • 해당 상태에 대응하는 주역 괘(乾, 坤, 火, 水 등)를 매핑하여
  • 해석과 전략을 제시하는 시스템입니다.

✅ 주요 코드 설명

  1. 지표 자동 수집
    • yfinance 라이브러리로 주가 데이터와 1개월 수익률, 20일 평균, 20일 표준편차(변동성), 14일 RSI를 계산합니다.
    • 추후 alpha_vantage 사용을 원하시면 API 키 주석 예시 추가 가능합니다.
  2. 지표 샘플 형식 예시
  3. { "Return": 8.5, # 1개월 수익률 (%) "RSI": 65.3, # RSI(14) "Volatility": 3.21 # 20일 표준편차 }
  4. 실제 적용 판단 기준
    • 과열: 수익률 > 10%, RSI > 70
    • 강한 상승: 수익률 > 5%
    • 완만한 상승: 수익률 > 0%
    • 조정: 수익률 > -5%
    • 약세: 수익률 ≤ -5%
  5. 주역 괘 매핑 + 전략 제시
    乾, 坤, 火, 水 등을 각 상태에 대응시켜 전략 제안까지 연결.

Python 프로그램 코드 다운로드: iching_stock_diagnosis.py

iching_stock_diagnosis.py
0.00MB

 

🔧 실제 운용 시에는 다음 작업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1. 지표 수집 자동화: yfinance, alpha_vantage, investpy, fdr 등으로 주가/지표를 실시간으로 가져오도록 수정.
  2. 주역 괘 매핑 정교화: 64괘 전반을 포함한 더 정밀한 전략 분류.
  3. Frontend 고도화: Flask 대신 Dash, Streamlit 등 사용 가능.

✅ 예측을 위한 5가지 기본 지침

 

1. 현실을 직시하라

    희망이 아닌 현재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단할 것.
    “보고 싶은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보라.

 

2. 변화를 감지하라

    절대값보다 변화의 방향과 속도에 주목하라.
    정적 상태가 아닌 동적 흐름을 포착하는 것이 예측이다.

 

3. 구조를 먼저 파악하라

    결과가 아니라 인과 구조(CLD/SFD)를 이해하라.
    시스템의 패턴은 반복된다.

 

4. 불확실성을 설계에 포함하라

    예측은 틀릴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설계해야 한다.
    시나리오 기반 접근이 가장 현실적이다.

 

5. 검증 없는 직감은 편견이다

    직관이 아닌 데이터 기반 판단으로 서라.
    “느낌”은 시작일 수는 있어도 근거는 아니다.

 

25.05.15.
Hoyal Horus Haw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