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uminating Minds, Bridging Worlds

마음을 맑히고 세상을 잇는 어나더.웍스

Dig up the ... 자세히보기

저 너머의 지혜/인간 심리와 행동의 이해

5. “난 특별해”라는 착각 — 자기중심성 편향과 자존감의 미묘한 줄타기

Little Giant Hawk 2025. 4. 20. 15:02

자기 인식과 사회적 비교 사이의 불편한 진실

 

나만 그런 건 아니겠지?’라는 순간
길을 걷다 넘어졌을 때,

괜히 주위를 둘러본 적 있으신가요?

누가 봤을까, 창피하다는 감정이 먼저 드는 순간 말이에요.

 

또, 시험을 못 봤을 때 ‘

다른 사람들도 어려웠겠지’라며 스스로를 위로하곤 하죠.

우리는 생각보다 자주,

‘세상이 나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착각 속에 살고 있어요.

이건 단지 우쭐한 태도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심리의 깊은 구조와 연결된 현상입니다.


①: 자기중심성 편향 — 나에 대한 특별 대우를 기대하는 마음
자기중심성 편향(egocentric bias)은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이

타인에게도 더 중요하거나 더 주목받는다고 믿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런 편향은 유년기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되는데요,

특히 10대 청소년기에는 ‘가상 관객’(imaginary audience)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누군가 항상 자신을 지켜보고 평가하고 있다는 느낌이죠.

어른이 되면 이런 감각은 희미해지지만,

여전히 사회적 상황 속에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곤 합니다.

 

자기중심성은 때로 우리를 자기합리화에 빠뜨립니다.

내 실패는 외부 요인 탓, 성공은 내 능력 덕이라는 식의 해석 말이죠.

또한, 다른 사람보다 내가 조금은 더 윤리적이고,

더 바르고, 더 괜찮은 사람이라고 여기기 쉬워요.

 

②: 자존감 — ‘있는 그대로의 나’와 ‘비교 속의 나’ 사이에서
흥미롭게도 자기중심성은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한 심리적 장치로 작동하기도 합니다.

세상과의 끊임없는 비교 속에서 우리가 무너지지 않도록,

스스로를 지키는 방어막이 되는 것이죠.

 

하지만 문제는,

자존감이 ‘우월감’으로 오해되기 쉬운 상황에서 생깁니다.

‘내가 특별하다’는 감각은

긍정적인 자기 인식을 넘어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충돌을 빚을 수 있어요.

 

반대로 자존감이 약한 사람은

비교에서 오는 열등감에 시달리며,

스스로를 더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죠.


‘나도 중요하지만, 모두가 그렇다’는 균형의 시선
자기중심성은 단점만 있는 건 아니에요.

어느 정도는 자기 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원천이기도 하거든요.

하지만 그것이 관계의 단절이나 왜곡된 판단으로 이어진다면,

한 번쯤 걸음을 멈추고 ‘정말로 그런가?’를 물어볼 필요가 있어요.

 

우리는 모두 각자의 인생에서 주인공이지만,

동시에 다른 누군가에겐 조연이기도 하죠.

자신을 소중히 여기되,

타인의 감정과 시선도 함께 존중할 수 있다면,

조금은 덜 외롭고 더 건강한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을 거예요.

 

25.04.20.
Horus Haw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