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메소포타미아의 함무라비 법전의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속담은 일반적으로 범죄의 정도에 비례한 처벌의 기준이자, 사회적 갈등 해결과 질서 유지를 위한 윤리적 원칙쯤으로 여겨집니다. 경쟁 환경에서는 이야기의 전개가 다르게 됩니다. 즉 두 주체가 일정 수준 이상의 자원(시간, 비용 등)을 계속 투입하게 되는 경쟁적 상황에서는 결과적으로 모두에게 걷잡을 수 없는 손해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騎虎之勢: 호랑이 등에 올라탄 듯 물러설 수 없는 형세
- 단계적 확대 Escalation -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쟁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경쟁자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것입니다. (a) 자신의 경쟁 우위competitive advantage를 지속시키기 위해, (b) 경쟁 우위를 가져올 추진력momentum을 유지하기 위해, 혹은 (c) 경영자가 해야하는 일이기 때문에
묻고 따블로 가!
1. Template
Dynamic Theory
‘단계적 확대’ 원형은 한 당사자의 행동이 상대방에 의해 위협으로 인식되고, 상대방이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하여 위협을 더욱 증가시킬 때 발생하게 됩니다.

이 원형은 두 개의 균형 루프가 시간이 지나면서 양측에 위협적인 행동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되어 그림과 같이 강화하는 효과를 생성해내는 것을 가정합니다.
Behavior Over Time
‘단계적 확대’ 원형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예측이 가능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 지기는 하지만, 각 당사자의 행동(및 반응)은 본질적으로 비슷합니다. 시간에 따른 행위 그래프가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단계적인 확대가 너무 오래 지속되더라도 붕괴 가능성을 보여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Application - Problem Solving
우리가 ‘단계적 확대’ 역학에 걸려든 이유 중의 하나는 경쟁에 대한 우리의 관점에서 비롯됩니다. 이 원형은 장기적인 치열한 경쟁은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원형은 직장에서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일을 중단하거나 완전히 회피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2. Guidelines
Prescriptive Action
• 한 당사자가 경쟁자와 대립하게 만드는 상대적 조치를 파악하고, 이를 변경하거나 시장에서 자신을 차별화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탐색합니다.
• 위협의 성격을 왜곡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서의 중요한 지연을 정량화 합니다.
• 양 당사자의 개별적 목표를 포괄하는 더 큰 목표를 식별합니다.
Seven Action Steps
• 경쟁자 간에 하나의 변수만이 차별화의 근거가 되는지 경쟁 변수competitive variable를 파악합니다.
• 역학관계를 이루는 주요 행위자의 이름을 붙입니다.
• 위협이 되는 요소를 매핑합니다. 여러분의 행동이 실제적인 위협을 대처하거나 더 이상 관련이 없는 현상 유지status quo 가치를 지키고 있습니까?
• 게임의 기초가 되는 변수를 변경할 수 있는지 경쟁의 기준을 재평가 합니다.
• 위협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는 중요한 지연을 정량화 합니다.
• 양 당사자의 목표를 포괄하는 더 큰 목표를 식별합니다.
• 협력적인 경쟁 시스템을 구축하여 향후 단계적 확대 함정을 회피합니다.
3. Example
시스템 사고의 "단계적 확대" 원형은 점점 더 부정적인 행동의 주기로 이어지는 피드백 루프를 설명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식 시장에서 자주 관찰되며, 사소한 하락이 본격적인 시장 붕괴로 확대되는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투자자의 행동과 선택에 따라 움직입니다. 시장이 활황일 때 투자자들은 흥분에 사로잡혀 미래에 대해 점점 더 낙관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주가가 오르면 사람들은 투자를 하지 않으면 손해를 본다는 느낌을 받게 되고, 이는 주가를 더욱 상승시키는 눈덩이 효과로 이어집니다. 이것은 시장이 무한정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믿음을 강화하는 "성공에 대한 성공" 원형입니다.
그러나 이 긍정적인 피드백 루프는 시장이 침체를 경험하기 시작하면 빠르게 부정적인 것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투자자들은 불안하고 두려워서 주식을 팔게 됩니다. 매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시장은 더 하락하고, 이는 패닉 매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은 더욱 하락하게 됩니다. 이것은 지속 불가능한 성장이 결국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하는 "성장의 한계" 원형을 보여줍니다.
시장이 하락함에 따라 투자자들은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점점 더 필사적이 되며, 이는 일련의 비합리적인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들은 손실을 보고 주식을 팔아 출혈을 막거나 더 투기적인 주식에 투자하여 손실을 만회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기적인 해결책이 장기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담 이동" 원형으로 나타납니다.
"단계적 확대" 원형은 2008년 금융 위기에서 볼 수 있는데,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 붕괴가 전체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연쇄 반응으로 이어졌습니다. 주택 시장의 소폭 하락으로 시작된 것이 전면적인 위기로 확대되어 은행 파산, 구제 금융 및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 침체로 이어졌습니다.
여기서의 교훈은 주식시장은 이해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시스템이며 작은 변화가 상상하지 못한 거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위험을 인식하고 행동의 잠재적 결과를 이해해야 합니다. 임박한 경기 침체의 경고 신호가 있을 때 한 걸음 뒤로 물러나 상황을 신중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려움이나 탐욕에 근거한 자동 반응은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신 장기적인 전략에 집중하고 시장의 불가피한 기복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Discourse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그가 생각하는 걸 / 나도 생각한다고 / 그가 생각 하리라는 걸 / 나는 생각한다
내쉬 평형(Nash Equilibrium)은 게임 이론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의 전략을 고려하여 최선의 전략을 선택한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주식 시장의 맥락에서, 이 이론은 거래자와 투자자의 행동, 그리고 그들이 결정을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내쉬 평형(Nash Equilibrium)은 주식 시장의 트레이딩 전략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음은 주식 시장에서의 내쉬 평형 적용 예시입니다:
대형 투자자들의 가격 안정화 전략
두 명의 대형 투자자가 특정 주식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1) 각 투자자는 자신의 보유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할 경우 주가가 하락할 것을 알고 있습니다.
(2) 두 투자자 모두 현재 포지션을 유지하면 주가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만약 한 투자자가 매도하고 다른 투자자가 보유를 유지한다면, 매도한 투자자는 주가 하락으로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내쉬 평형: 이 상황에서 내쉬 평형은 두 투자자 모두가 현재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어느 한 쪽도 단독으로 전략을 변경할 이유가 없으며, 이는 주가의 안정성으로 이어집니다.
마켓 메이커의 호가 스프레드 설정
주식 시장의 마켓 메이커들은 매수가(bid)와 매도가(ask)를 설정하여 스프레드를 만듭니다.
(1) 마켓 메이커들은 스프레드를 좁히면 거래량은 증가하지만 수익률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2) 반대로 스프레드를 넓히면 수익률은 높아지지만 거래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내쉬 평형: 마켓 메이커들이 비슷한 수준의 스프레드를 유지하는 지점에서 내쉬 평형이 형성됩니다. 이 지점에서는 어느 마켓 메이커도 단독으로 스프레드를 변경하여 이익을 개선할 수 없습니다.
고빈도 거래에서의 주문 타이밍
고빈도 거래자들은 서로의 행동을 빠르게 예측하고 대응합니다.
(1) 각 거래자는 최적의 주문 시점을 찾으려 합니다.
(2) 한 거래자가 주문을 내면 다른 거래자들이 즉시 반응합니다.
내쉬 평형: 이 상황에서 내쉬 평형은 거래자들이 서로의 행동을 예측하고 대응하여 좁은 가격 범위 내에서 안정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는 지점입니다.
이러한 예시들은 주식 시장에서 내쉬 평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여줍니다. 트레이더들은 이러한 균형점을 이해함으로써 시장의 안정성을 예측하고, 더 효과적인 거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요약(Recap)
줄
옛 인도의 아크발 황제 때에 베발이라는 대단한 현자가 있었다. 어느 날 황제가 어전으로 나오더니 벽에다 줄을 하나 쓱 긋는 것이었다. 그리고는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잘 들어라. 지금부터 그대들은 내가 이 벽에 그어논 줄을 짧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으라. 단 이 줄에 절대 손을 대서는 안 된다. 일절 손대지 않고 이 줄을 짧게 만들어야 한다."
아, 어쩔 것이냐? 불가능해 보였다. 손도 안 대고 어떻게 더 짧게 만드는가? 손만 댈 수 있다면 물론 누구든 할 수 있는 일어었다. 어찌할 것이냐?
그 때 베발이 돌연히 나섰다. 베발은 벽 쪽으로 성큼 다가가더니 그 줄 바로 밑에 다른 줄을 하나 그었다. 더 길게.
박상준 엮음, 오쇼라즈니쉬의 배꼽, 도서출판 장원, 1991, p.365
EYE FOR AN EYE

'생각의 기술 > 시스템 원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네 잘못이 아니야 (0) | 2023.05.13 |
---|---|
6. 저 힘찬 연어들처럼 (0) | 2023.05.13 |
5. 늘 깨어 있으라 (0) | 2023.05.13 |
4. 여우와 신포도 (0) | 2023.05.13 |
3. 열흘 붉은 꽃 (0)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