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단계적 확대(Escalation)
“남 따라 장에 가면 헛장 본다.”
“절대 수익을 추구하라. 상대 수익은 함정이다.”
(1) 🧠 아케타입 개요
이 구조는 두 주체가 서로의 경쟁 행동에 반응하며
점점 더 극단적인 행동을 반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합니다.
“상대를 이기기 위해 더 강하게 나서고,
그 결과 둘 다 파국으로 향한다.”
군비 경쟁, 마케팅 과열, 투자 과열, 부동산 가격 경쟁 등
현실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며,
결국 누구도 승자가 되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 기본 구조
A의 행동 강화 → B의 더 큰 행동
→ A가 더 과격하게 대응 → B도 계속 강화
→ 양측 모두 자원 낭비/소진 → 시스템 붕괴
✅ 구조적 특징
- 상대보다 더 많이/빠르게가 판단 기준이 됨
- 객관적 판단 기준이 사라지고 감정/위기감 주도
- 빠른 시점에 탈출하지 않으면 모두 손해
(2) 📌 투자 원칙
- 시장 구조의 본질:
상대보다 더 나은 수익을 내기 위해 경쟁하다가 포지션이 과도해지고, 결국 구조 붕괴를 초래합니다. 특히 기관 간, 개미와 기관 간 쫓고 쫓기는 상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 핵심 구조:
- 상대 비교 → 과도한 포지셔닝 → 가격 왜곡 → 붕괴
- 투자 원칙:
爭渡失舟 (쟁도실주): 경쟁에 몰입하다 함께 파국에 이른다
“절대 수익을 추구하라. 상대 수익은 함정이다.”
- 지침:
- 매수 이유가 ‘남들도 사서’인 경우 의심
- 수익률 비교보다 절대 손실 회피를 우선
- 위험 가중치와 변동성 지표를 기준 삼은 포트 조정
(3) 📌 투자 시사점
✅ 경계 신호
- 동일 섹터 내 경쟁사들이 비정상적인 속도로 투자 발표
- “나도 놓치면 안 된다”는 투자심리가 급격히 커짐
- 기업이 실적 없이 “파이 키우기” 경쟁에 올인 중
- 벤치마크 수익률 압박이 나의 판단을 흐리고 있음
✅ 대응 전략
- 경쟁 구조에서 “가장 먼저 이탈할 수 있는 기업”을 선별
→ 투자 회수 능력, 전략적 전환 시점 분석 - 기업의 투자 발표가 수익성 기반인지,
아니면 경쟁 대응용 이벤트성인지 구분할 것 - 자신의 포트폴리오 내 종목이
경쟁 루프의 희생양이 되고 있는지 점검 - 감정 기반 베팅에 들어간 순간을 기록하고,
“에스컬레이션에 들어간 시점”을 체크리스트화할 것
25.07.17.
Horus Hawks
'생각의 기술 > 시스템 원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탐욕은 자원을 고갈시킨다 (0) | 2025.07.17 |
---|---|
6. 승자의 지속성에 올라타되, 구조적 전환에 유의하라 (0) | 2025.07.17 |
5. 커지려면 먼저 키워야 한다 (0) | 2025.07.17 |
4. 목표가 흔들리면 시스템은 무너진다 (0) | 2025.07.17 |
3. 나무는 하늘 끝까지 자라지 않는다 (0)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