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uminating Minds, Bridging Worlds

마음을 맑히고 세상을 잇는 어나더.웍스

Dig up the ... 자세히보기

저 너머의 지혜/창의적 사고와 혁신

1. 왜 똑같은 걸 보면서 어떤 사람은 새로운 걸 떠올릴까?

Little Giant Hawk 2025. 4. 20. 16:24

– 관점을 바꾸는 힘: 전환적 사고와 '포스트잇'의 탄생


사람은 왜 같은 장면을 보고도 다르게 느낄까?

회의실 한쪽에서 사람들은 같은 문제를 바라보고 있는데, 누군가는 "이건 어쩔 수 없지"라고 하고,
다른 누군가는 "그렇다면 다르게 해보는 건 어때요?"라고 말합니다.
우리 모두는 일상에서 비슷한 고민을 마주하지만, 창의적인 발상은 늘 소수의 몫처럼 느껴지곤 하지요.
그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전환적 사고: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을 뒤집는 힘

전환적 사고(transpositional thinking)란, 기존의 관점을 일부러 바꾸어보며 문제를 새롭게 해석하는 사고법입니다.
“왜 그래야만 하지?”, “다르게 해보면?”이라는 질문에서 시작되는 이 사고방식은 창의력의 중요한 핵심이 되죠.
이런 전환은 때론 상식 바깥의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예를 들면,

  • 회의록은 왜 종이에 써야 하지?
  • 접착제는 항상 강해야만 할까?

포스트잇은 ‘실패한 접착제’에서 시작되었다

1970년대, 3M의 과학자 스펜서 실버는 강력한 접착제를 만들려다
“붙긴 붙는데 쉽게 떨어지는” 이상한 물질을 만들었습니다.
이건 명백한 실패처럼 보였죠. 하지만 몇 년 후, 동료였던 아트 프라이가 성가대 책갈피를 고정하려다
이 접착제를 떠올렸고, 이 아이디어는 전 세계 사무실을 바꿔놓은 ‘포스트잇’으로 이어졌습니다.
실패처럼 보였던 발명이, 관점을 바꿨을 때 세상을 바꾼 도구가 된 것이죠.


나도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창의성은 거창한 재능이 아니라, 관점을 달리 보는 작은 시도에서 시작됩니다.
지금 이 순간부터 실천해볼 수 있는 작은 연습들:

  • 평소 당연하게 여겼던 일에 "왜 꼭 그래야 하지?" 질문해보기
  • 실수나 실패를 ‘재료’처럼 다뤄보기 — 거기서 쓸 만한 건 없을까?
  • 회의나 대화 중, 한 번쯤 ‘반대로’ 생각해보기 ("정반대라면 어땠을까?")
  • 나와 다른 방식으로 일하는 사람의 관점을 의식적으로 들어보기
  • 일상 속 한 가지 루틴을 일부러 바꿔보기 (예: 출근길 경로, 점심 메뉴, 책 고르기 방식 등)

창의적 발상의 씨앗은, 언제나 낯선 질문에서 자랍니다.
오늘, 당신은 어떤 질문으로 하루를 시작하시겠어요?


25.04.20.
Horus Haw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