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uminating Minds, Bridging Worlds

마음을 맑히고 세상을 잇는 어나더.웍스

Dig up the ... 자세히보기

책임 2

욕설에 대하여

욕설에 대하여"욕은 절대 해서는 안되는 거야?"- 감정의 진실인가, 언어의 폭력인가? - ‘욕’에 대한 성찰적 질문 윤석열, 이재명의 욕설이 큰 논란이 되는 반면, 손흥민이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한 욕설에는 상대적으로 반응이 적습니다.왜 그럴까요? 남이 했건 누가 했건, 과거의 부정적인 발언이나 행동을 계속해서 반복해서 언급하는 것은 피로감을 줍니다.모 정치인의 과거 형수에게 했다는 욕설 장면을 가지고 선거철이 되니 또 되새기고 있어서, 그 욕설을 내 귀에까지 기어이 들리게 만들고야 말겠다는 것 같아서 치밀어 오르는 감정을 삼키던 차에, 대선 토론회라는 전국민이 보고 있는 방송에서 '중립적인 표현', 더 없이 '순화한 표현' 이라며 차마 입에 담기도 더 민망한 묘사를 담아서 내뱉는 폭행을 피할 겨를도 없이..

7. 내일의 아이들은 어떤 세상에 살까?

– 미래 세대를 위한 윤리적 선택 아이들은 늘 우리의 미래라 말합니다. 하지만 정작 그들의 미래를 위한 선택은, 지금 우리가 하고 있을까요?기후위기, 생물 다양성의 붕괴, 미세플라스틱… 지금 이 순간에도 세상은 조금씩 더 살기 어려운 곳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미래 세대는 이 모든 문제의 결과를 고스란히 떠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어떤 세상을 물려줄 수 있을까요? ‘기후 정의’라는 개념은 단지 기후 문제 해결을 넘어서, 그것이 누구에게 얼마나 불균형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묻습니다. 저소득 국가와 어린 세대는 가장 적게 기여했음에도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지속가능성은 단지 환경의 문제가 아닌, 윤리의 문제입니다.우리는 지금, 미래 세대가 살 집을 빌려 쓰고 있는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