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luminating Minds, Bridging Worlds

마음을 맑히고 세상을 잇는 어나더.웍스

Dig up the ... 자세히보기

생각의 기술/시스템 원형

1. 단기 해결책은 장기 리스크를 유발한다

Little Giant Hawk 2025. 7. 17. 18:21

🩹 1. 실패한 교정(Fixes that Fail)

“임시방편은 오래가지 못한다.”
“단기 반등은 구조 회복의 증거가 아니다.”

(1) 🧠 아케타입 개요

“지금 급한 불만 끄자.”
많은 조직과 개인이 위기 대응 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시스템 사고에서는 이런 방식이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동합니다.

단기 처방이 문제의 본질을 은폐하거나 더 악화시킨다.

✅ 기본 구조

문제 발생 → 단기 해결책 투입 → 일시적 개선 → 근본 원인 악화  
→ 시간이 지나면 더 큰 문제 재발

✅ 구조적 특징

  • 강화 루프가 숨어 있음: 단기 해결에 의존할수록 장기 문제는 커짐
  • 시차(Time Delay): 문제가 나중에야 더 심각하게 나타남

(2) 📌 투자 원칙

    • 시장 구조의 본질:
      단기적 손실 회피 혹은 문제 해결을 시도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문제는 되려 악화됩니다. 대표적으로 무한 평균단가 낮추기, 회피 매매 등에서 나타납니다.
    • 핵심 구조:
      • 단기 해결 루프: 손실 회피 매수 → 일시적 반등
      • 장기 악화 루프: 리스크 증가 → 구조 악화 → 손실 확대
    • 투자 원칙:
      下石上臺 (하석상대): “아래를 무너뜨리고 위만 살리면, 결국 다 무너진다.”
“단기 반등은 구조 회복의 증거가 아니다.”
  • 지침:
    • 반등장의 질 평가: 거래량, 펀더멘털 회복 여부 확인
    • 손실의 본질이 구조적이면 신속한 정리
    • 회복 가능성보다 리스크 증가 가능성에 우선순위

(3) 🎯 투자 시사점

✅ 경계 신호

  • 계속해서 자사주 매입/배당/임직원 보상만 강조한다
  • 일회성 이익이 반복되고 있다 (자산 매각, 세무 조정 등)
  • 회계 기준 변경 등으로 영업 외 항목이 부각된다
  • 핵심 사업 실적에 대한 언급이 적다

✅ 대응 전략

  • 단기 조치의 ‘반복성’에 주목: 비슷한 방식으로 계속 위기를 봉합하고 있다면 구조적 리스크 신호
  • 영업활동 현금흐름 중심 분석: 자산 처분이 아닌 ‘현업 성과’에 주목
  • 정책/회계 변경의 의도 분석: 진짜 실적인지, 시점 조작인지 판단
  • ‘해결책’ 이전의 문제 구조 파악: 해결책이 등장하기 전, 기업은 어떤 상태였나?

 

2025.07.17
Horus Haw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