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실패한 교정(Fixes that Fail)
“임시방편은 오래가지 못한다.”
“단기 반등은 구조 회복의 증거가 아니다.”
(1) 🧠 아케타입 개요
“지금 급한 불만 끄자.”
많은 조직과 개인이 위기 대응 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시스템 사고에서는 이런 방식이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동합니다.
단기 처방이 문제의 본질을 은폐하거나 더 악화시킨다.
✅ 기본 구조
문제 발생 → 단기 해결책 투입 → 일시적 개선 → 근본 원인 악화
→ 시간이 지나면 더 큰 문제 재발
✅ 구조적 특징
- 강화 루프가 숨어 있음: 단기 해결에 의존할수록 장기 문제는 커짐
- 시차(Time Delay): 문제가 나중에야 더 심각하게 나타남
(2) 📌 투자 원칙
- 시장 구조의 본질:
단기적 손실 회피 혹은 문제 해결을 시도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문제는 되려 악화됩니다. 대표적으로 무한 평균단가 낮추기, 회피 매매 등에서 나타납니다. - 핵심 구조:
- 단기 해결 루프: 손실 회피 매수 → 일시적 반등
- 장기 악화 루프: 리스크 증가 → 구조 악화 → 손실 확대
- 투자 원칙:
下石上臺 (하석상대): “아래를 무너뜨리고 위만 살리면, 결국 다 무너진다.”
“단기 반등은 구조 회복의 증거가 아니다.”
- 지침:
- 반등장의 질 평가: 거래량, 펀더멘털 회복 여부 확인
- 손실의 본질이 구조적이면 신속한 정리
- 회복 가능성보다 리스크 증가 가능성에 우선순위
(3) 🎯 투자 시사점
✅ 경계 신호
- 계속해서 자사주 매입/배당/임직원 보상만 강조한다
- 일회성 이익이 반복되고 있다 (자산 매각, 세무 조정 등)
- 회계 기준 변경 등으로 영업 외 항목이 부각된다
- 핵심 사업 실적에 대한 언급이 적다
✅ 대응 전략
- 단기 조치의 ‘반복성’에 주목: 비슷한 방식으로 계속 위기를 봉합하고 있다면 구조적 리스크 신호
- 영업활동 현금흐름 중심 분석: 자산 처분이 아닌 ‘현업 성과’에 주목
- 정책/회계 변경의 의도 분석: 진짜 실적인지, 시점 조작인지 판단
- ‘해결책’ 이전의 문제 구조 파악: 해결책이 등장하기 전, 기업은 어떤 상태였나?
2025.07.17
Horus Hawks
'생각의 기술 > 시스템 원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나무는 하늘 끝까지 자라지 않는다 (0) | 2025.07.17 |
---|---|
2. 본질 회피는 더 큰 문제를 낳는다 (0) | 2025.07.17 |
시스템 사고로 본 주식시장 8가지 구조와 투자 지침 (0) | 2025.07.17 |
투자의 보이지 않는 코드: 시스템 사고로 해독하는 8대 경제 아키타입 (0) | 2025.04.11 |
8.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 - 개별 이익 추구가 공동 자원을 파괴하는 순환고리다 (0) | 2025.04.10 |